[방법론] 4. 실무 적용을 위한 BIM 견적 도입 전략과 확산 방안

BIM 실시간 견적 방법론

4. 실무 적용을 위한 BIM 견적 도입 전략과 확산 방안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할 때 가장 좋은 접근법은 작은 성공을 먼저 만드는 것이다. BIM 견적 도입 전략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바로 파일럿 프로젝트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전체 도입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보다는, 공종이 비교적 단순하거나 기간이 짧은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해보는 것이 좋다.

파일럿 프로젝트에서는 다음의 항목을 테스트해야 한다:

  • 설계 BIM 모델의 링크 및 연동 안정성
  • 공사코드 맵핑 룰셋의 적용 범위 및 자동화율
  • 수량산출식 적용의 정확성
  • 단가 적용과 총액 산정 결과의 신뢰성
  • 최종 내역서의 가시성과 설명력

파일럿을 통해 얻은 경험은 내부 룰셋을 정교화하고, 교육 자료와 지침서를 만드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시스템이 기존 프로세스를 대체하려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고 효율화하는 수단임을 사내 전반에 자연스럽게 각인시키는 일이다.

파일럿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이제 전체 조직에 확산하는 단계를 고려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단순히 시스템 사용법을 교육하는 것을 넘어, 조직 내 견적 프로세스의 문화 자체를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하는 목표를 지녀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

  • 기술 담당자 및 BIM 담당자 지정: 각 부서별로 BIM 견적 시스템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책임자 또는 ‘챔피언’을 육성한다.
  • 템플릿화 및 표준화: 공사코드 맵핑 룰셋, 수량산출식, 단가 구성표 등을 표준 템플릿으로 정리하여 누구나 가져다 쓸 수 있도록 한다.
  • 단계별 교육과정 구성: 입문자를 위한 시스템 개요 교육 → 중급자를 위한 실무 적용 교육 → 고급자를 위한 룰셋 설계 교육 등 단계별 교육을 마련한다.
  • 검수 및 피드백 루틴 확보: 내역서의 정확성, 적용 단가의 합리성, 룰셋의 적절성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개선하는 체계를 만든다.

이런 과정을 통해 단순한 도구 도입을 넘어, 견적이 더는 개인의 숙련도에만 의존하지 않고, 팀의 지식과 데이터로 축적·확산될 수 있는 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BIM 견적 도입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은 성공 경험을 기반으로 조직 문화를 전환하는 것이다.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신뢰를 쌓고, 표준화·교육·피드백 체계를 통해 조직 전체로 확산할 때 비로소 시스템은 자리 잡는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도입을 넘어, 견적 문화 자체를 데이터 기반으로 혁신하는 과정이며, 장기적으로는 프로젝트 전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크게 높여준다.

– CNV 박도윤 –

FAQ

BIM 견적 도입은 어떻게 시작하는 게 좋나요?

공종이 단순하거나 기간이 짧은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파일럿 프로젝트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일럿 프로젝트에서 무엇을 검증해야 하나요?

모델 연동 안정성, 룰셋 자동화율, 수량산출 정확성, 단가 적용 신뢰성 등을 테스트해야 합니다.

조직 내 확산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나요?

담당자 지정, 템플릿 표준화, 단계별 교육, 검수·피드백 체계를 통해 점진적으로 확산됩니다.

BIM 견적 확산의 핵심 성공 요인은 무엇인가요?

작은 성공 경험을 기반으로 조직 문화를 점차 전환하는 것입니다.

현재 페이지 주소가 클립보드에 복사되었습니다.

이런 이야기는 어때요?

3
[전략] 2. 왜 실시간 견적인가
실내건축 BIM
[실내건축] 2. 실내건축에서 시작하는 BIM 건설 기술
Open bim ifc
IFC
[OPEN BIM | IFC] 4. 관계의 구조 - 건축은 연결이다
실내건축 BIM
[실내건축] 1. 건설산업 변화, 왜 더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