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BIM | IFC | BIM
2. IFC 보이지 않는 설계도
3. 객체와 속성 – 벽 하나에도 세계가 담겨 있다 ►
5. 현장 속 IFC – 기초, 콘크리트, 그리고 레미콘 ►
6. IFC로 본 건축의 미래 ►
7. 이제, IFC 스터디를 시작하자 ►
눈에 보이지 않는 또 하나의 도면
건축가가 도면을 펼치면 선과 글자가 보인다.
기둥은 굵은 선, 벽은 직사각형, 치수는 가느다란 선 옆에 붙은 숫자로 표시된다.
우리는 이 도면을 보면서 건축의 형상을 떠올린다.
하지만 도면은 결국 약속된 기호의 집합일 뿐이다.
도면을 잘 읽는 사람에게는 건물이 보이지만,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아무 의미 없는 선의 나열처럼 보인다.
IFC 역시 그렇다.
겉으로 보기엔 IfcWall
, IfcDoor
, IfcBuildingStorey
같은 낯선 이름이 가득하다.
그러나 조금만 익숙해지면, 그것은 현실 세계의 건축을 컴퓨터 언어로 옮겨놓은 또 하나의 도면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즉, IFC는 눈에 보이지 않는 두 번째 설계도다.
우리가 보는 도면은 사람을 위한 언어이고, IFC는 컴퓨터를 위한 언어다.
둘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같은 건축을 설명한다.
IFC라는 언어의 문법
언어에는 문법이 있다.
한국어에는 주어·서술어·목적어가 있고, 영어에는 주어-동사-목적어 순서가 있다.
건축 언어에도 문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 “이 벽은 2층에 속한다.”
- “이 문은 벽을 뚫고 있다.”
- “이 기초는 레미콘 자원과 연결된다.”
이 문장들을 사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컴퓨터는 문법이 없으면 이해할 수 없다.
IFC는 건축의 문법을 컴퓨터 언어로 정리한 것이다.
- 벽(
IfcWall
)이라는 명사, - 속성(Property)이라는 형용사,
- 관계(Relationship)라는 동사.
이 세 가지가 합쳐져 건축의 문장이 만들어진다.
객체 – 건축의 명사
현장에서 흔히 말하는 “부재(部材)”는 IFC에서 객체(Entity)다.
벽, 기둥, 보, 슬래브, 창문, 문…
모두 IfcWall
, IfcColumn
, IfcBeam
, IfcSlab
, IfcWindow
, IfcDoor
라는 객체로 정의된다.
객체는 마치 주민등록증을 가진 사람과 같다.
이름이 있고, 속성이 있으며, 다른 객체와 연결된다.
그리고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고유 ID(GlobalId)가 붙는다.
현장에서 “저 벽”이라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순간, IFC에서는 그 벽이 IfcWall #1234
라는 데이터로 존재한다.
사람이 손으로 가리키는 대신, 컴퓨터는 고유 ID로 벽을 가리키는 것이다.
속성 – 건축의 형용사
객체는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 벽이 두꺼운지 얇은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내화 성능은 어떤지, 마감은 무엇인지가 함께 기록된다.
예를 들어 IfcWall
에는 다음과 같은 속성이 붙는다.
- 높이: 3m
- 두께: 200mm
- 재료: 콘크리트
- 내화: 2시간
- 마감: 페인트
이 속성 덕분에 같은 “벽”이라도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다.
IFC는 이렇게 세밀한 차이를 속성으로 기록해, 단순한 그림이 아닌 정보의 집합을 만들어낸다.
관계 – 건축의 동사
건축의 본질은 연결이다.
벽은 바닥 위에 서고, 창문은 벽 속에 뚫리며, 기초는 지반에 얹힌다.
IFC는 이런 연결을 Relationship
이라는 구조로 표현한다.
IfcRelContainedInSpatialStructure
: “이 벽은 2층에 속한다.”IfcRelVoidsElement
: “이 창문은 벽을 뚫는다.”IfcRelAssociatesMaterial
: “이 기초는 콘크리트와 연결된다.”
관계가 없다면 건축은 단순히 부품의 집합일 뿐이다.
관계가 있기에 건축은 구조가 되고, 건물이 된다.
즉, 관계는 IFC의 동사다.
하나의 예시 – 작은 창문 하나
서울 도심의 한 아파트 설계 장면을 떠올려보자.
설계자는 도면에 작은 창문 하나를 추가한다.
“이 창문은 900mm × 1200mm, 남향 벽에 배치한다.”
이 짧은 문장이 IFC에서는 이렇게 변환된다.
- 객체:
IfcWindow
- 속성: 폭 900mm, 높이 1200mm, 유리 사양, 프레임 재질
- 관계:
IfcRelVoidsElement
→IfcWall
(창문이 벽을 뚫는다)IfcRelContainedInSpatialStructure
→IfcBuildingStorey
(창문이 3층에 속한다)IfcRelAssociatesMaterial
→유리/알루미늄
자재
즉, 종이에 그린 작은 직사각형 하나가 IFC에서는 객체와 속성, 관계의 거대한 네트워크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네트워크는 건축의 모든 과정을 데이터로 기록해 나간다.
IFC가 특별한 이유
왜 굳이 이렇게 복잡하게 기록할까?
그 이유는 단 하나, 모두가 같은 언어를 쓰기 위해서다.
- 설계자는 “창문”이라고 말한다.
- 시공자는 “개구부 치수와 설치 방식”을 생각한다.
- 발주자는 “이 창문을 시공하는 데 얼마가 드는가?”를 묻는다.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각자의 언어를 쓴다.
하지만 IFC는 이 모든 언어를 하나로 묶는다.
창문은 IfcWindow
로 기록되고, 속성에는 치수와 재료가 담기며, 관계에는 위치와 공정이 표현된다.
그럼 설계자·시공자·발주자 모두가 같은 데이터를 바라볼 수 있다.
각자의 언어로 해석할 뿐, 데이터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눈에 보이지 않는 힘
우리는 늘 눈에 보이는 도면과 모델에 익숙하다.
하지만 진짜 힘은 그 안에 숨어 있는 데이터 구조에서 나온다.
IFC는 건축을 데이터의 언어로 옮겨 놓았다.
보이지 않는 이 설계도를 이해하는 순간, 우리는 건축을 새로운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다.
단순히 “그림을 보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읽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 CNV 박도윤 –
FAQ
IFC 보이지 않는 설계도는 무엇인가요?
도면처럼 눈에 보이는 선이 아니라, 건축 데이터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데이터 언어입니다.
왜 IFC 보이지 않는 설계도가 필요하나요?
BIM 소프트웨어마다 다른 데이터 구조를 표준화해 설계·시공·발주자가 같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FC 보이지 않는 설계도를 배우면 어떤 이점이 있나요?
건축 객체와 속성, 관계를 데이터로 관리해 효율적인 협업과 자동화된 검토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