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BIM | IFC
3. 속성(Property Set)으로 보는 IFC의 변화 ►
4. 주요 IFC 객체별 속성 변화
주요 IFC 객체별 속성변화
1. 벽 (Wall)
벽은 BIM 모델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객체다. IFC2x3에서도 벽의 속성을 넣을 수 있었지만, 대부분은 기하 정보 위주였다. IFC4부터는 벽의 기능과 성능까지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IFC5에서는 그 속성이 국제 표준 사전과 연결된다.
| 버전 | 속성 예시 | 설명 |
|---|---|---|
| IFC2x3 | Length, Height, Thickness | 벽의 길이, 높이, 두께. 속성명은 소프트웨어마다 달랐다. |
| FireRating (임의 정의) | 일부 사용자가 임의로 넣은 방화 성능. 표준화되지 않음. | |
| IFC4 | FireRating | 공식적으로 방화 성능 속성이 정의되었다. |
| ThermalTransmittance | 벽의 열관류율(U값). 단열 성능을 교환 가능. | |
| IsExternal | 외벽 여부(True/False). | |
| IFC5 | FireRating (bSDD 연계) | 국제 사전과 연결된 방화 성능. 단위와 정의가 명확하다. |
| ThermalTransmittance (ISO 단위) | ISO 표준 단위(W/m²K)로 고정. | |
| AcousticRating | 차음 성능(dB). 국제 사전 정의 포함. |
👉 예를 들어, IFC2x3에서는 “FireRating”이라는 속성이 어떤 프로젝트에서는 1hr, 다른 프로젝트에서는 60분으로 기록되었다. IFC4에서는 “FireRating”이라는 동일한 이름과 단위로 정리되었고, IFC5에서는 이 속성이 국제 표준 사전(bSDD)과 연결되어 오해할 여지가 사라진다.
2. 창 (Window)
창은 설계에서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는 객체다. IFC2x3에서는 높이와 폭 정도만 전달할 수 있었고, IFC4부터는 개폐 방식, 단열 성능, 차음 성능 등이 추가되었다. IFC5에서는 환경 성능까지 확장될 수 있다.
| 버전 | 속성 예시 | 설명 |
|---|---|---|
| IFC2x3 | OverallHeight, OverallWidth | 창의 전체 높이와 폭. |
| GlassType (임의 정의) | 사용자마다 다른 이름으로 넣은 유리 종류. | |
| IFC4 | OverallHeight, OverallWidth | 여전히 포함. |
| GlazingType | 유리 종류를 표준 속성으로 정의. | |
| OperationType | 개폐 방식(슬라이딩, 회전, 틸트 등). | |
| ThermalTransmittance | 열관류율(U값). | |
| IFC5 | OperationType (bSDD 연계) | 국제적으로 통일된 개폐 방식 정의. |
| SolarHeatGainCoefficient | 태양열 취득률(SHGC). | |
| AcousticRating | 차음 성능(dB). 국제 표준 단위 적용. |
👉 IFC2x3 시절에는 창의 단열 성능을 제대로 교환할 방법이 없었다. IFC4부터는 ThermalTransmittance 속성으로 정확히 기록할 수 있었고, IFC5에서는 SHGC까지 지원해 창의 에너지 성능을 직접 비교할 수 있게 된다.
3. 슬래브 (Slab)
슬래브는 건물의 바닥과 지붕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다. IFC2x3에서는 단순히 면적과 두께 정도만 표현되었다. IFC4에서는 재료층과 구조적 역할까지 기록할 수 있었고, IFC5에서는 유지관리 단계까지 고려한 속성이 추가될 수 있다.
| 버전 | 속성 예시 | 설명 |
|---|---|---|
| IFC2x3 | Area, Thickness | 면적과 두께. |
| LoadBearing (임의 정의) | 하중지지 여부를 사용자 정의 속성으로 넣기도 했다. | |
| IFC4 | Area, Thickness | 여전히 포함. |
| LoadBearing | 표준화된 속성으로 정리. | |
| IsExternal | 외부 바닥/지붕 여부. | |
| ThermalTransmittance | 단열 성능. | |
| IFC5 | StructuralPerformance | 구조적 성능(하중 지지능력). bSDD 정의 포함. |
| MaintenanceCategory | 유지관리 구분(예: 보수 주기). | |
| FireResistanceRating | 내화 성능. 국제 단위 적용. |
👉 예를 들어, IFC2x3에서는 슬래브가 하중을 지지하는지 여부를 명확히 알 수 없었다. IFC4에서는 LoadBearing 속성이 공식으로 추가되었고, IFC5에서는 그 구조적 성능을 수치화해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4. 흐름으로 보는 차이
IFC2x3: 속성은 있었지만 제각각이었다. 프로젝트마다 다르고, 소프트웨어마다 달라서 협업이 어려웠다.
IFC4: 속성이 표준화되었다. 같은 객체는 어디서나 같은 속성을 쓴다. 방화 성능, 열관류율, 외벽 여부 같은 값들이 일관되게 교환된다.
IFC5: 속성이 국제 데이터 사전과 연결된다. 이제는 단순히 “방화 성능 = 1hr”이 아니라, “방화 성능 = 1시간 (국제표준 정의, ISO 단위)”처럼 의미와 단위가 확실히 규정된다.
정리
IFC의 진화는 단순히 “더 많은 데이터를 담는다”가 아니다.
- IFC2x3에서는 속성이 흩어져 있었다.
- IFC4에서는 속성이 정리되었다.
- IFC5에서는 속성이 국제 표준과 연결된다.
즉, 같은 벽, 같은 문, 같은 슬래브를 모델링해도 버전에 따라 담기는 정보와 그 정확성이 달라진다. IFC가 발전할수록 건설 산업은 더 명확한 언어로 소통할 수 있게 된다.
– CNV 박도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