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개발환경 세팅 및 HelloWorld
강의 목적
- Python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기본적인 설정을 익힌다.
- Visual Studio Code와 Python을 설치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Python 가상환경을 설정하여 프로젝트별 독립적인 작업 환경을 만든다.
- IfcOpenshell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이를 Python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 Python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실행하며, 디버깅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익힌다.
내용
IDE 설치(Visual Studio Code)
IDE란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의 약자로, 통합 개발 환경을 뜻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라고 이해하면 쉽다. 주로 소프트웨어 편집, 빌드, 테스트, 패키징, 컴파일, 배포, 문서 편집 등의 기능이 있고 대표적으로 VisualStudioCode 와 같은 앱이 있다.
본 강의에서는 VisualStudioCode를 이용하여 진행하므로 VisualStudioCode를 설치하도록 한다.
먼저 Google에서 Visual Studio Code라고 검색하면 code.visualstudio.com이라는 사이트로 갈 수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본인의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그리고 설치된 파일을 실행해서 안내에 따라서 설치하면 된다.
Python 설치(python3.11)
Ifc어플리케이션을 Python기반으로 개발할 예정이므로 Python을 설치하겠다.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python.org'를 입력하여 python 홈페이지로 들어간 뒤, 'Downloads'메뉴를 클릭한다. 이 강의는 blender 4.3버전과 원활하게 호환되도록 blender4.3에서 사용하는 python 버전인 3.11을 사용하도록 한다. python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면 다양한 릴리즈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리스트가 나온다. 이 중에서 Python 3.11.9 버전을 찾아 Download 버튼을 클릭한다. 그리고 이동한 페이지에서 스크롤로 화면을 내려 각자의 운영체제에 해당하는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합니다. 저는 윈도우를 사용하므로 여기서 Windows installer(64-bit) 링크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하겠다.
다운로드받은 Python 3.11.9 설치파일을 실행하시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여기서 'Add python.exe to PATH' 를 체크하고 'Install Now' 버튼을 클릭한다.
그리고 나서 기다리시면 설치가 완료되고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올 수 있다.
여기서 'Disable path length limit' 버튼을 클릭하고 'Close'버튼을 클릭해서 설치를 완료한다.
프로젝트 폴더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한다. 어떤 경로에 생성해도 괜찮다. 프로젝트 이름은 자유롭게 지정하면 된다.
가상환경 만들기(venv)
가상환경이란
-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독립적인공간으로 가상환경을 사용할 경우, 다른 프로젝트와는 별개로 독립적인 라이브러리 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
가상환경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는 가상환경을 만드는 것이 권장된다. 이유는 프로젝트별로 독립적인 작업공간을 구성해야 버전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특정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때, a프로젝트에서는 최신버전을 사용하고 b프로젝트에서는 과거버전을 사용해야 할 경우, 가상환경을 만들지 않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전역폴더에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므로 서로 독립적인 버전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되도록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는 가상환경을 만들어서 세팅하는 것을 권장한다.
가상환경 만드는 법
VSCODE(VisualStudioCode)실행
설치된 VisualStudioCode를 실행하고 'File'메뉴-'Open Folder'를 클릭한다. 그리고 생성한 폴더를 선택한
가상환경 생성
'Terminal'메뉴-'New Terminal'을 클릭해서 아래 터미널 창이 열린 것을 확인한다.
가상환경을 생성하기 위해서 cmd창에서 python -m venv
를 입력하고 뒤에 지정하고 싶은 가상환경이름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python -m venv myvir
python -m venv .localproject
python -m venv .LocalIfcProject
나는 보통 프로젝트 폴더명 앞에 '.'을 붙여서 가상환경폴더를 만든다. 예를 들면, 내가 프로젝트 폴더이름을 'LocalIfcProject'로 설정했으면, 그 프로젝트의 가상환경이름은 '.LocalIfcProject'로 설정하는 편이다. 정답은 없으므로 편한대로 진행하면 된다.
가상환경 활성화
현재 상태는 가상환경모드가 아닌 전역모드로 되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아래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가상환경모드로 바꿔야 한다. 본인의 운영체제가 무엇인지 잘 확인하고 진행한다. 참고로 아래에 표현되 [가상환경이름]
은 본인이 설정한 가상환경 이름일 것이다. 나의 경우 .LocalIfcProject
이다.
- (맥/리눅스)
source [가상환경이름]/bin/activate
- (윈도우)
[가상환경이름]\Scripts\activate
제대로 가상환경이 설정되었다면 다음과 터미널 창에 다음과 같이 명령줄 앞부분에 괄호 안에 가상환경이름이 찍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위의 그림과 같은 에러메세지가 뜨면, '윈도우키+x'를 누르고 'Windows PowerShell(관리자)'를 클릭해서 실행한 뒤, 다음 그림과 같이 Set-ExecutionPolicy -ExecutionPolicy RemoteSigned -Scope CurrentUser
를 입력하고 a
를 입력해 주면 된다.
python 관련 extension 설치
VisualStudioCode를 처음 설치하고 파이썬 프로젝트를 처음 진행한다면 python관련 extension을 설치해야 한다. VisualStudioCode 화면에서 좌측 부분에 Extensions를 클릭한다.
그리고 Python이라고 검색을 하게 되면 제공자가 'Microsoft'인 'Python' Extension이 있을 것이다. 이것을 선택하고 Install을 클릭해서 설치한다. 그러면 지금부터 Python문법에 맞게 인텔리센스 등이 작동할 것이다. 그리고 다시 VisualStudioCode 창의 좌측에 버튼 중 'Explorer'를 클릭해서 파일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fcOpenshell 설치
IfcOpenshell을 설치하기 위해 다시 터미널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pip3 install ifcopenshell
을 입력하여 패키지를 설치한다.
그러면 지금부터 ifcopenshell을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라이브러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것인데, 그때마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도록 하겠다.
VisualStudioCode의 좌측 'EXPLORER' 영역에 '.LocalIfcProject\Lib\site-packages' 경로를 보면 방금 설치한 패키지들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ifcopenshell폴더 또한 보인다.
Hello World
VisualStudioCode에서 좌측 'EXPLORER' 영역에 열려있는 폴더를 모두 접고 빈 공간에 마우스 우클릭 후'New File...' 을 클릭한다. 그리고 'main.py'라고 파일명을 입력하면 main.py 가 열리고 코드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print('hello world')
라고 입력 하고 'ctrl+s'를 눌러 파일을 저장한다.
그리고 작성된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인터프리터를 설정해야 한다. 'ctrl+shift+p' 단축키를 누르면 위에 명령창이 활성화되는데, 여기서 'select interpreter'라고 입력하여 엔터를 치고 다음 그림과 같이 본인이 만든 가상환경이름이 붙은 interpreter를 선택한다. 나의 경우는 'Python 3.11.9('.LocalIfcProject':venv)' 를 선택했다.
그리고 디버거를 선택하기 위해 똑같이 'ctrl+shift+p' 단축키를 누르고 'select and start debugging'을 검색 후 실행한다. 그리고는 다음 그림과 같이 'Python Debugger'를 선택해 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user settings'라는 글자가 있는 것을 선택해 준다.
그러면 디버깅이 실행되고 터미널에 'hello world'가 찍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을 'ctrl+F5'를 눌러서 진행해도 된다.
과제
-
가상환경 생성 및 활성화
- 각자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가상환경을 생성해보자.
- 운영체제에 맞게 가상환경을 설정하고, 터미널에서 활성화해보는 연습을 해보자.
-
간단한 Python 프로그램 작성
- "Hello, World!"를 출력하는 Python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실행해보자.
-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가상환경에 맞는 인터프리터를 선택하는 방법을 실습해보자.
-
IfcOpenshell 설치 및 확인
- IfcOpenshell을 설치하고, Python 코드에서 이를 불러와 간단히 테스트해 보자.
- "import ifcopenshell"을 통해 라이브러리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
문제 해결
- Python 환경 설정 중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 메시지를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보자.
- 예를 들어, "Set-ExecutionPolicy" 관련 에러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인 노트에 정리하자.